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쇼핑9440

[경기도 여주시] 여주장 (5, 10일) 여주장 (5, 10일) - 홈페이지 : www.yeoju.go.kr - 전화번호 : 031-887-2272 - 주소 : 경기도 여주시 여흥로11번길 53여주장에 대하여 옛 문헌에 기록된 것은 없으나 고려시대에 들어와서 시장이 없는 곳에 장이 생기기 시작하여 생활필수품을 거래하게 되었고 쌀,금,은 등이 화폐의 대행을 이루는 물물교환이 성행하여 정책적으로 교환율을 정하기도 했고 폭리에 대해서는 사법제도를 만들어 범법자를 처벌하기도 했는데 그 당시 여주의 생산처로서 지금의 대신면 지역에 등신장이라는 것이 있었는데 정확한 위치나 생산품이 무엇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 그 외에 방근곡처(점동면 처리), 신지처(능서면 신지리), 신내이처(흥천면 신근리)등이 있었다. 조선초 농본정책이 중시되고 상업이 억제되었으나 왜란.. 2024. 10. 18.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장 (2, 7일) 함열장 (2, 7일) - 홈페이지 : http://www.iksan.go.kr/tour/index.iksan - 전화번호 : 063-862-2900 - 주소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함열읍 와리2길 8함열시장은 이조말 금성마을 날근터에 시장이 개설되었고, 그 후 함열역 부근에 형성되다가 일제 때 현 위치에서 본격적으로 발달하였다. 1950~1970년경까지 강경 웅포 등의 물류가 유입되어 성시를 이루웠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시내버스가 1975년경부터 운행되면서 인근 익산시에 상권이 편중되면서 함열장은 약화되어 현재는 채소류, 의류, 잡화류, 생선류, 과일류 등으로 5일장이 유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 소개 정보 - 장서는날 : 매월 2, 7, 12, 17, 22, 27일 - 영업시간 : 일출시~일몰시 (.. 2024. 10. 18.
[울산 남구] 수암한우야시장 수암한우야시장 - 홈페이지 :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suamsanggamarket/ 전국배송 쇼핑몰https://smartstore.naver.com/suamsangga_market - 주소 : 울산광역시 남구 수암로128번길 12 (야음동)수암한우야시장은 울산 최초 한우야시장을 운영하는 전통시장이다. 30~40대 고객층이 주로 방문하고 있으며 퇴근 후 가족, 친구, 회식모임으로 주로 찾고있다.현재는 전통시장만의 감성을 느끼기 위해 20대 고객층의 방문률도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전국에서도 수암한우야시장을 방문하게 위해 울산을 찾는 고객들이 증가하는 추세다. 평소보다 30%할인된 금액으로 저렴하게 한우를 구입하여 즉석에서 숯불에 구워먹을 수 있으며 울산 특산물인 고래고.. 2024. 10. 18.
[충청북도 충주시] 충주 자유시장 충주 자유시장 - 홈페이지 : http://www.jycj.co.kr - 전화번호 : 043-848-3414 - 주소 : 충청북도 충주시 충인6길 16 (충의동)충주 읍성의 북문 자리에 있는 전통시장이다. 5일장이 열리던 곳으로 도시가 형성되면서 자연스럽게 상설시장이 들어서게 되었다. 도로변 점포들은 주로 의류, 귀금속을 취급하고 있고 시장 안쪽에 있는 골목 점포들의 경우 주단, 의류, 포목 등을 취급하고 있다. 과거에 다른 골목 점포들은 주로 고추와 마늘, 쌀 등을 취급하던 곳으로 고추전, 싸전 등으로 불릴 정도로 성시를 이루던 곳이었으나 1995년 충주시 농수산물도매시장이 생기면서 대다수 상인들이 그곳으로 이전하였다. 밤에는 충주누리야시장을 운영하며 다양한 먹거리뿐만 아니라 충주의 전통 공연, 버스킹.. 2024. 10. 18.
[경기도 연천군] 연천장 (2, 7일) 연천장 (2, 7일) - 전화번호 : 031-839-2641 - 주소 :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차현로 139경기도 연천군은 경원선 철도가 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망이 잘 정비되어 있어 교통이 아주 편리하다. 서울에서 많은 시외버스가 이 지방을 왕래한다. 연천은 예로부터 콩과 소의 집산지로 이름이 나있다. 특히 콩은 ‘연천태’라 하여 전국적으로 유명하며, 전국에서 제1의 콩 생산지이기도 하다. 경기도 연천에 있는 재래시장 중 하나인 연천장은 매월 2, 7, 12, 17, 22, 27일에 장이 열린다. 다른 장에 비해 규모는 작지만 과일, 채소, 해산물 등의 식품과 농촌 일을 할 때 유용한 모자와 팔 토시, 식물, 화분 모종 등 다양한 종류의 물건들을 판매하고 있다. ※ 소개 정보 - 장서는날 : 매.. 2024. 10. 18.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장 (1, 6일) 대야장 (1, 6일) - 홈페이지 : https://www.gunsan.go.kr/tour - 전화번호 : 063-451-2327 - 주소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대야면 대야시장로 7-1군산시 임피면과 옥산면 남내리 경계에 입지하여 최초에는 지경장이라 칭하여 인접 농어민의 모임과 물문교환의 장으로 부각된 대야장은 100여 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는 군산지역 유일의 5일장이다. 이곳에서는 시골 할머니가 가져온 강아지를 비롯해서 채소류와 생선, 옷가지, 마른 고추가 거래되고 있으며 특히 봄철에는 관상수와 유실수 묘목시장이 큰 규모로 형성되고 있다. 1948년 대야역 설립으로 대야면 산월리 부근으로 서서히 이전되어 현재의 장터가 형성되었다고 하는데, 전주와 군산을 잇는 전군 도로 길목과 전라선이 만나는 교통의.. 2024. 10.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