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라북도161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장 / 진안시장 (4, 9일) 진안장 / 진안시장 (4, 9일) - 전화번호 : 063-433-1051~2 - 주소 :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진안읍 진무로 1105-2전주에서 소양(화심)을 지나 소태정을 넘어서 10여분을 달리면 인구 4천명의 아담한 진안읍 시가지가 한눈에 들어온다. 쌍다리를 거쳐 무주쪽으로 가면 진안 공용버스 정류장이 있고, 그 앞에는 현대식 철근콘크리트로 1986년에 신축한 진안시장이 있다. 예로부터 진안은 전북 동북부 지방의 관문으로서 물물의 거래가 왕성한 곳으로 알려져 전국 각지의 상인들이 찾아 들었던 곳이다. 진안지역은 전국 인삼생산량의 15%를 생산하고 있으며, 전북수삼센터가 있어 이곳에서는 인삼거래가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또한 전면적의 81%가 산림인 이곳에서 생산되는 표고, 약초등의 거래가 활발하며.. 2025. 3. 13.
[전라북도 정읍시] 정읍 연지시장 정읍 연지시장 - 주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연지시장3길 50-91958년 현재의 장옥을 건립하여 개설하게 되었다. 장날은 2,7일이다.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정읍 제2시장이 2011년 7월 정읍 연지시장으로 지역의 특성을 살려 새롭게 명칭을 변경하였다.정읍 고속버스 터미널 인근에 위치하였고, 다양한 먹거리들이 가득하여 많은 이들이 방문하고 있다. ※ 소개 정보 - 장서는날 : 매월 2, 7, 12, 17, 22, 27일 - 판매품목 : 순대 / 막걸리 / 동동주 / 떡 / 생선 / 채소 등 각종 부식물 - 규모 : 점포수: 122개부지면적: 20,109㎡장옥면적: 4,866㎡ - 문의및안내 : 063-532-5380 - 유모차대여정보 : 없음 - 신용카드가능정보 : 없음 ◎ 제조자 이름 ◎ 입점브랜.. 2025. 3. 13.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장 (1, 6일) 대야장 (1, 6일) - 홈페이지 : https://www.gunsan.go.kr/tour - 전화번호 : 063-451-2327 - 주소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대야면 대야시장로 7-1군산시 임피면과 옥산면 남내리 경계에 입지하여 최초에는 지경장이라 칭하여 인접 농어민의 모임과 물문교환의 장으로 부각된 대야장은 100여 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는 군산지역 유일의 5일장이다. 이곳에서는 시골 할머니가 가져온 강아지를 비롯해서 채소류와 생선, 옷가지, 마른 고추가 거래되고 있으며 특히 봄철에는 관상수와 유실수 묘목시장이 큰 규모로 형성되고 있다. 1948년 대야역 설립으로 대야면 산월리 부근으로 서서히 이전되어 현재의 장터가 형성되었다고 하는데, 전주와 군산을 잇는 전군 도로 길목과 전라선이 만나는 교통의.. 2025. 3. 13.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재래시장(삼례시장) 삼례재래시장(삼례시장) - 주소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삼례읍 삼봉로 61960년대에 건립된 삼례시장은 2018년 7월에 소비자의 편의를 생각한 쾌적한 건물과 넓은 주차장을 가진 전통시장으로 새롭게 개장했다. 상설시장과 더불어 3일과 8일에 열리는 5일장에는 인근 지역에서 직접 재배해 가져온 농산물과 서해안의 수산물, 수입과일까지 있어 먹거리, 볼거리가 많은 복합 문화공간이다. 주변에 삼례역, 삼례 문화예술촌, 삼례 책마을, 삼례 터미널 등이 자리하고 있다. 모두 도보로 이동할 수 있는 가까운 거리여서 전통시장과 함께 돌아볼 수 있는 나들이 코스로 제격이다. ※ 소개 정보 - 장서는날 : 3일, 8일 (06:00~17:00) - 영업시간 : 09:00~18:00 (점포별 상이함) - 판매품목 : 먹거.. 2025. 3. 13.
[전라북도 정읍시] 정읍 샘고을시장 (구 제일시장) 정읍 샘고을시장 (구 제일시장) - 전화번호 : 063-534-6661 - 주소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평6길 22-21910년대에 개시된 전통 깊은 시장으로 5일장과 상설시장의 형태로 열리고 있으며 정읍시 일원은 물론이고, 고창, 부안, 순창군과 전남의 일부까지도 정읍 시장에서 장을 볼 만큼 인근 지역의 상권을 확보하고 영향을 끼치는 큰 시장이다. 1978년 시장 현대화 사업을 마무리하여, 오늘의 시장 형태를 갖추게 되었고 2011년 7월 1일 정읍 제1시장 명칭이 정읍 샘고을 시장으로 변경되었다. 농축수산물을 비롯 의복, 신발 등 각종 공산품이 거래되고 있으며, 소규모 가축시장이 장날마다 열리고 비단전, 옹기 전, 지방 무형문화재 서남규 씨가 제작한 장고 등 유기점을 만날 수 있다. ※ 소개 정보.. 2025. 3. 12.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장 (2, 7일) 함열장 (2, 7일) - 홈페이지 : http://www.iksan.go.kr/tour/index.iksan - 전화번호 : 063-862-2900 - 주소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함열읍 와리2길 8함열시장은 이조말 금성마을 날근터에 시장이 개설되었고, 그 후 함열역 부근에 형성되다가 일제 때 현 위치에서 본격적으로 발달하였다. 1950~1970년경까지 강경 웅포 등의 물류가 유입되어 성시를 이루웠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시내버스가 1975년경부터 운행되면서 인근 익산시에 상권이 편중되면서 함열장은 약화되어 현재는 채소류, 의류, 잡화류, 생선류, 과일류 등으로 5일장이 유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 소개 정보 - 장서는날 : 매월 2, 7, 12, 17, 22, 27일 - 영업시간 : 일출시~일몰시 (.. 2025. 3.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