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충청북도137

[충청북도 괴산군] 목도장 / 목도시장(4, 9일) 목도장 / 목도시장(4, 9일) - 전화번호 : 043-834-0123 - 주소 :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 목도로2길 10상가주택건물형의 소형시장으로 ‘ㄱ’ 자 모양의 형태이며, 점포들의 간판 인테리어가 통일감이 있어 깔끔한 인상을 준다. 장날은 매월 4일, 9일마다 열린다. 이곳은 강과 가까이에 위치하여 신선한 어죽과 매운탕이 유명하고, 특산물인 사과, 오이, 꿀배, 방울토마토, 감자, 송이버섯 등 우수한 품질의 농산물을 소비자에게 공급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양조장 중 하나인 목도 양조장도 시장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출처: 괴산군청) ※ 소개 정보 - 장서는날 : 매월 4, 9, 14, 19, 24, 29일 - 쉬는날 : 점포별 상이 - 영업시간 : 08:00~19:00 ※ 점포별 상이 -.. 2025. 3. 14.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 장뜰시장 증평 장뜰시장 - 홈페이지 : https://www.jp.go.kr/ - 주소 :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장뜰로 58-1음성과 청주, 괴산이 둘러싸고 있는 충청북도 증평군에는 장뜰시장이 있다. 장뜰시장은 늘 문을 여는 상설시장이지만 1일과 6일 장이 서는 날이면 더욱 활기차게 변신한다. 증평시장은 고려시대엔 청당현과 도안현에 해당됐으며 이후 조선시대에는 청안현과 청안군이었다. 1914년 청안군은 일제에 의해 청원, 진천 그리고 괴산으로 각각 쪼개 나뉘어 편입됐고 이후 증평지역은 1923년 5월 1일 청주 간 증평의 충북선이 개통됨으로써 발전의 전기를 맞이해 상설시장과 5일장(1일, 6일) 등 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음성, 괴산, 진천, 청원의 4개군의 접경지에 위치한 증평시장은 급격히 성장해 194.. 2025. 3. 14.
[충청북도 충주시] 충인시장 충인시장 - 홈페이지 : http://www.jycj.co.kr/ - 주소 : 충청북도 충주시 충인6길 162005년 전통시장 특례법에 따라 자유·공설·충인 3개 시장이 자유시장으로 통합돼 오늘에 이르고 있다. 위치하는 동네 이름이 충인동인 까닭에 지역민들은 ‘충인시장’이라고 부르고 있다. 상인회에 등록된 회원 수는 360명이지만, 등록되지 않은 업소까지 합치면 500곳에 이른다. 인접한 무학시장까지 합치면 업소 숫자는 800곳으로 불어나고, 매 5일, 10일 장이 설 때 들어서는 좌판까지 합치면 상인 숫자가 1,300여 개 이르는 대형 재래시장이다. 특화시장이라기보다는 전통시장으로 의식주와 관련된 업종이 주를 이루고 있다. 현재는 먹거리, 입을 거리 관련 업소가 많다. 한때 포목과 한복이 유명했지만, .. 2025. 3. 14.
[충청북도 음성군] 무극장 / 무극시장 (5, 10일) 무극장 / 무극시장 (5, 10일) - 홈페이지 : https://blog.naver.com/PostList - 전화번호 : 043-877-0129 - 주소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금석로75번길 5무극시장은 상가주택건물형의 중형시장이다. 평소에는 상설시장으로 운영되며 매월 5일, 10일 단위로 장이 크게 서는 시장이다. 시장 천장에는 아케이드가 설치되어 있어 비나 눈이 내려도 편안하게 장을 볼 수 있다. 다양한 농수산물과 간식거리, 생활 필수용품 등 다양한 품목이 있다. 그리고 무극시장 고객지원센터 2층에 무인카페가 자리해 있는데 저렴한 가격에 음료를 마실 수 있다. ※ 소개 정보 - 장서는날 : 매월 5, 10, 15, 20, 25, 30일 - 쉬는날 : 점포별 상이 - 영업시간 : 점포별 상이 .. 2025. 3. 14.
[충청북도 제천시] 제천 역전한마음시장 제천 역전한마음시장 - 주소 : 충청북도 제천시 내토로28길 3-1 (화산동)1997년까지 중앙시장에서 5일장(2, 7일)이 열렸으나 교통수단의 발달과 대형할인점에 밀려 재래시장이 없어진 뒤 1998년 처음 이곳에서 5일장이 부활됐으며 매 3, 8일에 장이 선다. 노점상을 포함한 120여 점포(상인 350명)로 노점상이 대부분이나 5일장이 서는 날이면 강원도 원주와 영월, 충주, 단양 등에서 20여 명의 장꾼(준회원)들이 다양한 물건을 트럭 등에 싣고 와 합류한다. 또 농촌에서 직접 생산한 각종 농산물을 들고 와 파는 할머니들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상설시장이나 다른 시장에 비해 물건의 가격이 싸고 다양한 상품이 거래돼 훈훈한 인정이 넘치며 장날이면 상인과 소비자들 사이에 가격을 흥정하는 소리가 정.. 2025. 3. 13.
[충청북도 보은군] 관터장 (관기재래시장) (4, 9일) 관터장 (관기재래시장) (4, 9일) - 전화번호 : 043-540-3231 - 주소 : 충청북도 보은군 마로면 관기3길 6-7충북 보은군 마로면 관기리에 위치하고 있는 관터장(관기재래시장)은 자연적으로 형성된 5일장이다. 형성 초기에는 우시장과 더불어 곡식의 물물교환 형식으로 운영되었으며, 1970년대까지 성황을 이루었으나, 유통산업의 개방과 농촌인구의 격감이 이루어진 1980년대 이르러 서서히 퇴조하게 되었다. 지금도 옛 전통을 이어 5일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행정기관과 시장 번영회가 재래식 장터의 활성화를 추진하면서 서서히 옛모습의 시장으로 살아나고 있다. 관터장은 보은에서 14km 지점에서 위치하고 있으며, 버스편으로 약 20분 정도 소요되며, 직행버스, 시내버스가 20분 간격으로 운행되고 있다... 2025. 3.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