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상남도363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시장 (3, 8일) 생초시장 (3, 8일) - 전화번호 : 055-972-1713 - 주소 :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어서리 259 생초시장옛날 시골장 정취를 이제는 느끼기 어렵지만 아직도 시골 아낙네나 할머니들이 남새밭에서 재배한 무공해작물(상추, 열무 등)이나 자연산 채취 산나물, 버섯 등이 나오고 있다. ※ 소개 정보 - 장서는날 : 매월 3, 8, 13, 18, 23, 28일 - 영업시간 : 06:00 ~ 10:00 이전 (점포별상이) - 판매품목 : 농산물, 특산물 - 문의및안내 : 055-972-1713 - 유모차대여정보 : 없음 - 신용카드가능정보 : 없음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4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 2024. 12. 11.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장 / 지리산함양시장 (2, 7일) 함양장 / 지리산함양시장 (2, 7일) - 홈페이지 : http://www.grandculture.net/hamyang - 전화번호 : 055-963-2454 - 주소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중앙시장길 8-9지리산함양시장은 함양 지역의 대표 재래시장으로 함양읍 중심가에 위치하며 2015년 8월 기존 함양중앙상설시장에서 지리산함양시장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1983년부터 상설전통시장으로 운영 중이며 2일과 7일이 들어가는 날짜에는 오일장이 선다.함양장은 지리산이 인접한 함양군 내에서 재배, 생산된 농산물과 특산물을 주종으로 판매한다. 특히, 함양 사과와 양파가 주요 특산물로 타지역 상품보다 고랭지에서 생산되어 단단하고 맛이 좋을 뿐 아니라 저장성이 뛰어나 전국 상인들에게 인기 있는 농산물이다.함양은 국립.. 2024. 12. 6.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상설시장 창녕상설시장 - 주소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창녕시장길 66창녕읍의 상설시장이자 5일장이 서는 곳으로 평상시에는 주차장으로 사용되지만 3일, 8일이 되면 어김없이 전통 시장으로 변신한다. 고추, 마늘, 양파 등 각종 채소류와 제철 과일 그리고 꼬막, 조개, 새우 등의 신선한 해산물, 잉어, 가물치, 미꾸라지 등 민물고기를 판매하는 어물전도 즐비하다. 건조식품, 가전용품, 약재, 떡 등 판매하는 품목도 다양하고 직접 꾸민 가판도 가지각색이지만 전통시장답게 인심은 여전히 정겹다. 장날 빠지면 섭섭한 먹거리도 다양하지만 그중 1박 2일 촬영 중 이수근이 먹었다는 수구레 국밥은 여전히 인기가 많아 꼭 한번 먹어봐야 할 메뉴이다. ※ 소개 정보 - 쉬는날 : 장날 외 - 영업시간 : 점포별 상이함 - 판매품.. 2024. 11. 19.
[경상남도 거제시] 미미네문방구 미미네문방구 - 홈페이지 : http://instagram.com/mimine_jisepo - 주소 : 경상남도 거제시 지세포로 79-2 1층 미미네문방구지세포항 인근에 자리잡고 있는 미미네문방구는 초록색 단층주택으로 아이들에겐 행복한 공간이며, 어른들에겐 추억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 어른들에게는 잠시나마 동심으로 돌아가 옛날에 먹던 쫀득이도 먹어보고, 뽑기도 해보는 시간을 가져 볼 수 있으며, 아이들도 옛날에 있었던 여러가지 장남감과 문구류를 만나 볼 수 있는 공간이다.미미네 문방구에는 시간을 초월하여 과거에 대한 향수를 느낄 수 있으며, 쫀득이, 아폴로, 밭두렁 등 군것질 거리가 있고, 세일러문 장난감, 옛날 포스터, 표준전과, 문구류 등과 뽑기 놀이 도구 등 옛날 문방구에 있던 여러가지 물건들을.. 2024. 11. 12.
[경상남도 진주시] 실키안 실키안 - 홈페이지 : http://www.jinjusilk.co.kr - 전화번호 : 055-747-9841 - 주소 :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월아산로996번길 22실키안은 진주에서 생산된 천연실크 상품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매장으로, 총 29개 업체가 우수한 디자인과 상품성을 갖춘 제품을 선보이는 진주지역 실크 공동 브랜드이다. 문산읍의 실크전문 농공단지 안에 위치해 있다.실키안은 실크(SILK:비단)와 시빌리안(CIVILIAN:시민)의 합성어로 실크를 통해 시민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고자 하는 마음을 담았다. 삼국시대 중국에서 신라로 전해진 비단 산업이 경주를 비롯해 주변 지역으로 널리 퍼졌는데, 진주는 누에치기에 적당한 기온과 지리산에서 내려오는 맑은 물로 인해 일찍이 실크의 명산지가 되었다.실키안.. 2024. 11. 1.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장 (1, 6일) 거창장 (1, 6일) - 홈페이지 : http://www.kgcm.kr - 전화번호 : 055-944-2581 - 주소 :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시장길 54거창전통시장은 조선시대부터 주변 합천, 함양, 산청 등 인근 지역의 장꾼들이 모여 문전성시를 이루던 곳으로 그 역사는 지금도 이어져 내려오고 있으며, 매달 1일과 6일로 끝나는 날에는 오일장이 열려 북새통을 이룬다. 우리나라 전통시장은 전국적으로 1,600여개 정도 있는데, [가고 싶은 전통시장 50선]에 선정되기도 하였고,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 청년몰 조성 및 활성화 사업에 선정되어 운영되고 있다.거창시장은 오홍이라는 캐릭터를 사용하고 있는데, 황금원숭이 오홍이는 거창의 금원산 설화에서 유래된 상징동물로 5홍을 먹고 방금빛으로 변하여 죽지도 않.. 2024. 10. 30.
반응형